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Synthesizer V/음소표기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Synthesizer V



1. 개요
2. 영어
3. 일본어
4. 만다린
5. 광동어
6. 특수 기호


1. 개요[편집]


해당 문서는 Synthesizer V의 음소 표기법을 정리한 문서이다.

VOCALOID가 X-Sampa를 차용한다면 SynthV는 Arpabet 표기법을 기반으로 두고 있다. 단 이것은 영어 음원 한정이며 일본어는 독자적인 표기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중국어는 보컬로이드와 마찬가지로 X-Sampa를 차용하고 있다.


2. 영어[편집]


모음
synthV 표기IPA(사전적)IPA(미국식 실제 발음)예시
aaɑpalm, lot
aeætrap, bath
ahʌɐstrut
aoɔɔ[1]cloth, thought
awmouth
axəcomma
ayprice
ehɛdress
erɚnurse, letter
eyface
ihɪkit
iyifleece
owgoat
oyɔɪchoice
uhʊfoot
uwugoose

자음
synthV 표기IPA예시
bbbuy
chchina
dddie
dhðthe
drdrive
dxɾbutter
fffight
gɡguy
hhhhigh
jhjust
kkkite
lllie
mmmy
nnnose
ngŋsing
pppie
rɹrisk
sssay
shʃshy
tttie
thθthing
trtree
vvvote
wwwise
yjyes
zzzoo
zhʒmeasure

SynthV 1.9.0 버전에서 파일을 뜯어보면 q라는 정체불명의 음소가 지정돼 있는데, 실제로 사용해 보면 통 종잡을 수 없는 소리가 난다. 신스비 위키 포럼의 모 유저는 이것이 원래 성문 파열음(ʔ)을 위한 음소로 쓰이기로 했지만 cl 음운이 모든 언어에서 쓰일 수 있게 되면서 기능이 사라졌다고 주장하였다.

3. 일본어[편집]


모음
synthV 표기IPA사용 발음
aäあ단 전부
iiい단 전부
uɯ̹う단 전부
eえ단 전부
oお단 전부
청음 자음
synthV 표기IPA사용 발음
kkか, き,く, け, こ
kyきゃ, きゅ, きぇ, きょ
ssさ, す, すぃ, せ, そ
shɕし, しぇ, しゃ, しゅ, しょ
ttた, て, てぃ, と, とぅ
tyてぃぇ, てゃ, てゅ, てょ
cht͡ɕち, ちぇ, ちゃ, ちゅ, ちょ
tst͡sつ, つぁ, つぃ, つぇ, つぉ
nnな, に, ぬ, ね, の
nyにぇ, にゃ, にゅ, にょ
hhは, ひ, へ, ほ
hyçʲひぇ, ひゃ, ひゅ, ひょ
fɸふ, ふぁ, ふぃ, ふぇ, ふぉ
mmま, み, む, め, も
myみぇ, みゃ, みゅ, みょ
yjいぇ, や, ゆ, よ
wwうぃ, うぇ, うぉ, わ
탁음 자음
synthV 표기IPA사용 발음
ggが, ぎ, ぐ, げ, ご
gyぎぇ, ぎゃ, ぎゅ, ぎょ
zd͡zざ, ず, ずぃ, ぜ, ぞ
jd͡ʑじ, じぇ, じゃ, じゅ, じょ
ddだ, で, でぃ, ど, どぅ
dyでぃぇ, でゃ, でゅ, でょ
bbば, び, ぶ, べ, ぼ
byびぇ, びゃ, びゅ, びょ
ppぱ, ぴ, ぷ, ぺ, ぽ
pyぴぇ, ぴゃ, ぴゅ, ぴょ
synthV 표기IPA사용 발음
Nn, m, ŋ, ɴ
R2 추가 발음[2]
synthV 표기IPA사용 발음
kwクァ, クィ, クゥ, クェ, クォ
gwグァ, グィ, グゥ, グェ, グォ
vβヴ, ヴァ, ヴィ, ヴェ, ヴォ

보컬로이드와 달리 일부 い단의 구개음화된 자음을 표기하지 않는다. 가령 き는 [ky i]라고 표기하지 않고 [k i]라고 표기한다.

4. 만다린[편집]


해당 단락은 VOCALOID 발음기호 표/중국어를 참고하여 작성되었다.

VOCALOID와 똑같이 X-Sampa를 차용하고 있으나 미묘하게 다른 점이 존재한다. '(작은 따옴표 기호) 대신 `(억음 부호)를 사용하고 _(밑줄 문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VOCALOID는 모든 모음을 띄어쓰기 없이 하나의 표기로 사용할 수 있던 반면, Synthesizer V는 일부 모음을 사용하기 위해선 두 표기를 조합해야 사용할 수 있다.

ㄤ[A N]의 [A]나 ㄟ[a :{{{\}}}i]의 [:{{{\}}}i] 같이 본래 홀로 쓰일 수 없는 모음도 억지로 분리해서 사용 가능하다.

백슬래시(\) 기호는 시스템 언어에 따라 ¥, ₩ 등 다양한 글자가 될 수 있다.

성모(자음)
분류한어병음(주음부호)IPA 발음 기호Synth V 표기
쌍순음b(ㄅ)[p]p
p(ㄆ)[pʰ]ph
m(ㄇ)[m]m
순치음f(ㄈ)[f]f
설첨음d(ㄉ)[t]t
t(ㄊ)[tʰ]th
n(ㄋ)[n]n
l(ㄌ)[l]l[3]
설치음z(ㄗ)[t͡s]ts
c(ㄘ)[t͡sʰ]tsh
s(ㄙ)[s]s
권설음zh(ㄓ)[ʈ͡ʂ]ts`
ch(ㄔ)[ʈ͡ʂʰ]ts`h
sh(ㄕ)[ʂ]s`
r(ㄖ)[ʐ]~[ɻ]z`
설면음j(ㄐ)[t͡ɕ]ts\
q(ㄑ)[t͡ɕʰ]ts\h
x(ㄒ)[ɕ]s\
설근음g(ㄍ)[k]k
k(ㄎ)[kʰ]kh
h(ㄏ)[x]x
반모음없음[4][j], [ɥ]j
[w]w
운모(모음)
분류한어병음(주음부호)IPA 발음 기호Synth V 표기
단운모a(ㄚ)[ä]a
o(ㄛ)[ɔ]o
e(ㄜ)[ɯ̯ʌ] or [ɤ]~[ɯ̯ɤ][5]7
i(ㄧ)[i]i
[ɨ]i\
[ɨ˞ ]i`
u(ㄨ)[u]u
ü(ㄩ)[y]y
복운모ai(ㄞ)[aɪ̯]a :\i
ei(ㄟ)[eɪ̯]e :\i
ao(ㄠ)[ɑʊ̯]AU
ou(ㄡ)[ɤʊ̯]@U
비운모an(ㄢ)[an]a :n
en(ㄣ)[ən]@ :n
ang(ㄤ)[ɑŋ]A N
eng(ㄥ)[ɤŋ]@ N
ong(ㄨㄥ)[ʊŋ]U N
권설운모er(ㄦ)[ɑɻ]~[ɚ]a r\`
결합운모ia(ㄧㄚ)[i̯ä]ia
ie(ㄧㄝ)[i̯e̞]ie
iao(ㄧㄠ)[i̯ɑʊ̯]iAU
iou(ㄧㄡ)[i̯ɤʊ̯]i@U
ian(ㄧㄢ)[i̯ɛn]iE :n
in(ㄧㄣ)[in]i :n
iang(ㄧㄤ)[i̯ɑŋ]iA N
ing(ㄧㄥ)[iŋ]i N
iong(ㄩㄥ)[i̯ʊŋ]iU N
ua(ㄨㄚ)[u̯ä]ua
uo(ㄨㄛ)[u̯ɔ]uo
uai(ㄨㄞ)[u̯aɪ̯]ua :\i
uei(ㄨㄟ)[u̯eɪ̯]ue :\i
uan(ㄨㄢ)[u̯än]ua :n
uen(ㄨㄣ)[u̯ən]u@ :n
uang(ㄨㄤ)[u̯ɑŋ]uA N
ueng(ㄨㄥ)[u̯əŋ]~[u̯ɤŋ][6]u@ N
üe(ㄩㄝ)[y̯œ] or [y̯e̞][7]yE
üan(ㄩㄢ)[y̯ɛn]~[yan]y{ :n
ün(ㄩㄣ)[yn]y :n


5. 광동어[편집]



분류IPA 발음 기호Synth V 표기
파열음[p]p
[pʰ]ph
[t]t
[tʰ]th
[k]k
[kʰ]kh
[kʷ]kw
[kʷʰ]kwh
파찰음[t͡s]ts
[t͡sʰ]tsh
마찰음[f]f
[s]s
[h]h
유음[l]l
비음[m]m
[n]n
[ŋ]N
반모음[w]w
[j]j
모음[aː]a
[ɐ]6
[ɛː]E
[e]e
[iː]i
[ɪ]I
[ɔː]O
[o]o
[uː]u
[ʊ]U
[œː]9
[ɵ]8
[y]y
[m̩]m=
[ŋ̍]N=
끝소리[j]:i
[w]:u
[m]:m
[n]:n
[ŋ]:N
[p̚]:p_}
[t̚]:t_}
[k̚]:k_}


6. 특수 기호[편집]


특수 기호
synthV 표기IPA예시
sil없음어미에 이 발음을 넣으면 숨소리가 살짝 들어가며 발음이 끝난다. 사실 사용하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발음
clʔ소리를 강하게 끊고 싶을 때 사용한다.[8]
br없음완전한 숨소리. 보통 단독으로 사용하여 들숨을 표현하는 데 쓰인다.
이외에 pau 기호가 있는데, SynthV 공식 발음기호표에서는 제외돼 있다. 실제로 사용해 봐도 통일된 발음을 보이지는 않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3 22:16:14에 나무위키 Synthesizer V/음소표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ɑ로 실현될 수도 있다.[2] SynthV Studio에서는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3] L의 소문자[4] 반모음은 정식 한어 병음에 포함되지 않으나 Synthesizer V에서는 구현되어 있다.[5] 나무위키 표준중국어 문서에서는 ɯ̯ʌ, Vocaloid Wiki에서는 ɤ~ɯ̯ɤ라서 일단 중복 표기[6] 위와 마찬가지로 표기 충돌[7] 표기 충돌[8] 무기 파열음의 앞에 추가하면 한국어의 된소리처럼 들리는 발음이 된다.